프로그래밍 독학 파이썬 Day 2. 연산과 변수
프로그래밍 독학 파이썬 Day 2.
연산과 변수
* 연산과 변수
1. 파이썬의 연산
파이썬에서는 중괄호나 대괄호를 사용하지 않고 모두 ( ) 소괄호를 사용한다.
>>> 5+(4*(3+(1+2)))
29
예제소스와 실행 결과
print("7+4 + ", 7+4)
>>>7+4 = 11
print("7*4 + ", 7*4)
>>>7*4 = 28
.
.
.
2. 파이썬의 변수
변수 = 변할 수 있는 정보
a, f, name는 변수 이름, 7, 1, "John"은 각각의 변수에 저장된 정보
변수를 이용해 삼각형을 그려보자
예제 소스
import turtle as t
d = 100
# 삼각형 그리기
t.forward(d) # 거북이가 d만큼 앞으로 이동합니다.
t. left(120) # 거북이가 왼쪽으로 120도 회전합니다.
t.forward(d)
t. left(120)
t.forward(d)
t. left(120)
변수를 사용하면 좋은 점.
변수 d 값을 바꿔서 삼각형의 크기를 한 번에 바꿀 수 있다.
프로그램에서 d = 100 을 d = 200 으로 바꿔보면 삼각형의 크기가 두 배로 커진다.
대화형 셀에서 변수 사용해 보기
>>> a = 3 # 변수 a에 3을 저장합니다.
>>> a # a의 값을 확인합니다.
3
>>> b = 1.1+2 # 변수 b에 1.1+2의 결과인 3.1을 저장합니다.
>>> b # b의 값을 확인합니다.
3.1
>>> c = a+b # a와 b를 합한 값을 변수 c에 저장합니다.
>>> c # c 값을 확인합니다.
6.1
>>> d = 2 # 변수 d에 2를 저장합니다.
>>> d = d+1 # d에 1을 더한 값을 다시 d에 저장합니다.
>>> d # d 값을 확인하면 3입니다.
3
여기서 d = d +1 기억해두자!
'd에 저장된 값에 1을 더하여 다시 d에 저장하라'는 문장인데, 이렇게 하면 'd 값이 1만큼 커지는 효과'를 얻는다.
즉, d = d+1은 변수 d 값을 1씩 증가시켜 달라는 뜻이다.
대화형 셀에 명령어를 입력하다 에러가 나면? (delete키로 바로 수정이 되지 않음)
잘못 입력해 에러가 난 줄을 클릭 -> 엔터 한번 누르면 >>> 뒤에 잘못 입력한 줄이 한번 더 자동으로 입력된다.
-> 자동으로 입력된 줄에서 잘못된 부분 수정하고 엔터 -> 수정된 줄에 대한 실행결과 얻을 수 있다.
문제점,,
열심히 하려고 하는데,, 어제의 문제가 나아지지 않는다.
파이썬 프로그램을 재설치도 해봤는데 여전히 새 창을 띄워 코드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결과가 나와야하는데 공백이다.
결국 오늘은 직접 입력하여 결과를 눈으로 보지 못하고 책과 상상으로만 공부를 마쳤다.
빨리 문제를 해결해야 진도가 쑥쑥 나갈터인데ㅠㅠ
결국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들면서 가입해 둔 카페에 질문 남겼으나,, 답변이 언제 돌아올런지...ㅠ
http://cafe.naver.com/ehdl24eek
-> 문의 남긴 그 날 저녁, 어느 감사한 분의 답변!!!
파이썬에서 새파일을 만들면 그냥 텍스트 모드일 뿐이라고 한다.
새 파일을 열고 메뉴에서 Run -> Run module을 눌러 저장하면 맨 처음 열린 쉘에서 실행이 되는 거라고 한다.
저장 후 다시 열린 맨 처음의 쉘은 수정이 된다.
![]() |
|
지금 공부하고 있는 모두의 파이썬으로 독학을 해보고 c언어나 java는 학원을 다니며 배워볼까 생각 중,,
내일배움카드를 이용해 봐야겠다!!